[스크랩] 프로폴리스는 전립선암, 유방암, 결장암 , 신경암 등에 항암작용이 탁월하다.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신경암(신경모세포종) 등의 암에 대하여
항암작용이 탁월하다.
프로폴리스에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는 인간 암세포들에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Flavonoids isolated from Caribbean propolis show cytotoxic in
human cancer cell lines)
** 연구 배경(Background)
*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다양한 식물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
(polyphenolic compounds)에 여러 종류의 반응기(heterogeneous
group)가 붙어 있다.
* 플라보노이드 화학구조는 2-phenyl chromen이며 flavan(플라반)으로 알려져 있다.
* 플라보노이드는 약리작용(pharmacological properties)을 가지고 있는데
항염증(antiinflammatory), 항산화(antioxidative), 항바이러스(antiviral),
항세균(antibacterial), 항 증식성(antiproliferative) 등의
활성(activity)을 가지고 있다.
* 이전 연구에서 mucronulatol의 세포독성에 대하여 기술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인디고(Indigofera sp)에서 발견되었다.
* 여기서 처음으로 캐러비안 프로폴리스(Caribbean propolis)에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를 처음 서술했으며,
캐러비안 프로폴리스에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가 다양한 인간 암세포에 대하여
높은 항암작용(세포독성활성)(cytotoxic activity)을 나타내었다.
** 결론(Results)
* 캐리비안 프로폴리스에서 보고된 플라보노이드는
mucronutalol과 4개의 플라보노이드는 뚜렷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분자량은 288~390Da으로
mass spectroscopy와 2D NMR techniques로 확인된다.
* 앞 연구에서 작은 분자를 A3-2, A4-6, A4-7, A5-3으로 이름 지었으며,
최종 5개의 입체화학구조는 설명되지 않았다.
* 이들 플라보노이드는 암세포 줄기(cancer stem cell-like entities)를
포함한 다양한 암세포(various cancer cell lines)에 대하여
세포독성(cytotoxicity)을 나타낸다.
* IC50값은 암 조직(tumor histology)에 의존하며
etoposide와 anthracyclines같은 세포분열억제(cytostatics)사용으로
임상적으로 이중저항성 없이(without any detectable cross-resistance)
관찰 될 수 있는 범위는 1.6~46.4㎍/ml이다.
* 뚜렷하게, A4-6과 A5-3는 인간 암 줄기 세포에 대하여 활성이 더 강했다.
* A4-6 물질은 특별히
유방암(IC50-valubes WT/CSCs 18.3 vs 8.7㎍/ml)과
전립선암(IC50-valubes WT/CSCs 9.1 vs 4.9㎍/ml)에서
분리된 암세포(CSCs)에 대하여 효능(활성)이 좋았으며,
A5-3는
결장암(IC50-valubes WT/CSCs 3.1 vs 0.9㎍/ml)과
신경암(neutroblastoma)(IC50-valubes WT/CSCs 6.8 vs 3.7㎍/ml)에서
분리된 암세포(CSCs)에 대하여 효능(활성)이 좋았다.
* PCR분석에서
A5-3는 cyclin E와 CDK4의 강한 down-regulation을 유도,
blocks S-phase로 G1-population의 현저한 증가가 이루어진다
첨언하면 MEK/ERK신호의 현저한 무질서는 이 화합물에서 관찰되어진다.
* 더욱더 뚜렷하게 A3-2와 A4-6는 Figure1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tubulin polymerization 저해제로서 작용하다.
* 증식(복제)효소(replicative enzymes)인 topoisomerases, DNA-polymerases,
와 DNA intercalation을 저해(억제)를 하지 않는 것이 이들 화합물의
실험에서 관찰되었다.
* A4-7의 작용 메카니즘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 결론(Conclusions)
* 4개의 일반적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캐리비언 프로폴리스에서 분리되었다.
* 이들 작은 플라보노이드는 실제로 암 줄기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암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한 독성을 나타내었다.( 항암작용이 강했다.)
* 연구자 들은 작은 분자의 플라보노이드가 흔하며 교차저항이 없기 때문에
임상에서 암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진다고 했다.
* A4-6와 A5-3는 암 (세포)에 대하여 항암작용이 좋았으며,
열에 안정하고 유방암, 전립선암, 신경모세포 종 등
암세포 줄기 표현형(CSCs)에서 안정하다.
* A5-3의 세포독성검사에서 세포사이클 진행과정에 몇 가지 인자를
하양 조절한다.


